삼포세대, 사포세대, N포세대등 2~30대들의 암울한 상황을 나타내는 말들이다.
특히 요즘같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위의 말들이 비단 2~30대 뿐만이 아니라
전세대에 두루영향을 미친다.
가뜩이나 코로나때문에 알바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인데..
심지어 최저시급까지 9000원에 육박하게 되어서 일반 자영업자들은 알바고용도 힘겨워한다.
그나마 반 강제적으로 알바를 고용할 수 밖에 없는 편의점
즉, 2교대가 필요한 자영업이외에는 대학생 알바자리는 거의 전무하다고 본다.
물론 과외자리는 그나마 유지중이지만, 이건 소수에 해당되니까..ㅎㅎㅎㅎㅎ
이렇게 주변 모두가 힘들시기
20대가 반드시 알아야하는 재테크가 있다.
많은 재테크방법이 있지만, 반드시 해야할 재테크라면 "주택청약저축"과 "CMA통장"이다.
물론 주식이나 채권같은 재테크 수단도 있지만, 투자를 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나 크고 기간이 너무 오래 걸릴수도 있다. 대한민국에서 주식을 해보신 분은 알겠지만, 과거의 삼성이 현재까지 오기에는 2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비트코인같이 빠르게 수익을 보는 경우도 있지만,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투자보다 훨씬 더 리스크가 크고,
사행성이 짙은 재테크방법이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비트코인, 주식) 재테크 방법은 취업이후 즉, 안정적인 수입이 있고,
일정부분의 손실을 감안할수 있을때 좋은 재테크 방법이 되겠다.
그럼 이제 불안정성을 제외하고서라도 청약저축과 CMA가 왜 20대에게 유리한 재테크 방법인지 설명하겠다.
1. 청약저축
굳이 말할필요가 있을까 싶을정도로 요즘에는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상품이다.
일단 당첨만 되면 로또는 저리가라고 할정도의 수익이 생긴다.
특히나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아파트 가격은 천정부지로 솟구치고 있으니
아파트 분양권을 생각하면 빠르게 챙기면 챙길수록 유리한 상품이다.
위의 기사를 보면 알수 있듯이 이시언은 주택청약에 당첨된 이후로 2~3년만에 10억이상 수익을 냈다.
주택청약 힘들더라도 반드시 챙기자.
2. CMA통장
CMA는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분들이라면 생소할수도 있다. 또 재테크에 관심이 없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낯설수도 있다.
CMA통장은 "목돈굴리기에 적합한 상품" 이라고 한다. 다만, 티끌모아 태산이 되는 것이 아니라, 티끌은 티끌대로 모이고, 태산으로 모으면 태산이 되는 지극히 자본주의적인 성격(돈이 돈을 낳는 구조)을 지니고 있다.
CMA통장의 최대 장점
1) 단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다는 점이다. 물론 이자소득세가 있어서 세금을 계산해야겠지만, 요즘같이 팍팍한 이자율을 보면 아주 아름다운 상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최초에는 가입금액이 200만원이나 100만원 등으로 정해져있었지만, 동양증권(유안타증권)에서 가입금액을 철폐시키고 대중화시켰다고 한다. 이후 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준다는 말에 사기아니냐는 말도 있었지만, CMA상품이 익숙하지 않았던 시대라서 생길수 있는 단순한 오해였다.
2) 적금과 같이 입출금이 불가능한 상품이 있지만, CMA는 입출금 또한 자유롭다. 심지어 일반 예금통장처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역시 발급된다. 즉 CMA 통장은 증권사에서 발급되는 자유입출금식 통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주식이나 ETN같은 상품은 별도의 통장개설 없이 CMA통장에서 거래가능하다. ( 각 증권사 문의)
현재 예금자 보호법에 의거하여 5000만원까지 보호가능한 CMA 상품은 "우리 종합금융"의 종금형 CMA통장이 있다.
CMA통장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20대에 추천하는 상품은 종금형CMA를 추천한다.
알바비나 용돈 통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각 종합금융의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매우매우 친절하게 잘 알려준다.
CMA의 최대 단점
1)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시간에 따른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자정부터 7시까지는 주식과 채권 각종 금융상품과 관련된 정산업무가 처리되므로 입출금이나 조회가 되질않는다.
2) 제2 금융권에 현재의 CMA와 비슷하지만, 입출금 조건이 좀더 자유로은 상품이 생겼다.
파킹통장이라고 부르는 상품인데,1금융권과 동일조건으로 금리를 비교해보았을때 2금융권이 좀 더 금리가 높다.
(사실 1금융권보다 2금융권의 상품이 금리가 조금더 높은 경우가 많다.)
비록 이런 단점들이 있지만, 단점들이 단순히 편리함이 조금 떨어진다는 것뿐이지 상품자체의 질이 낮다고는 볼수 없다.
조금만 부지런하다면 편리함과 수익률을 동시에 챙길수 있다.
조금 여유가 된다면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공부해서 수익을 얻는것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럴수 없다면 기본적으로 챙길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봤다.
CMA는 일반예금 입출금통장 대신 사용하기에 좋고, 청약은 적금으로서 비과세 통장으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장기적인 부동산투자가 가능한 상품이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 주식용어정리 - 박스권 (0) | 2022.05.25 |
---|---|
5분 주식용어정리 - 방향성 장세와 변동성 장세. (0) | 2022.05.24 |
생활 금융 상식 - 8. 제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 1금융권이란,2금융권이란 (0) | 2021.03.18 |
생활 금융 상식 - 7. 신용과 관련된 금융상식 (0) | 2021.03.13 |
경제 상식 - 10. 대공황이란 무엇일까? (0)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