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야기

경제상식 이야기 - 3. 경기란 무엇인가

Killthewhale 2020. 11. 20. 10:00
반응형

 경기의 정의와 종류

경제용어 경기의 정의와 종류 내수경기 수출경기

신문이나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경기회복, 경기침체, 경기활성화등등 여러가지 경제소식이나 이야기에서 빠지지않고 나오는 "경기"의 뜻은 과연 무엇일까요?

1. 경기란?

경제용어 경기의 정의와 종류 내수경기 수출경기

경기는 영어로 Business Conditions , 이것을 직역하면 "사업 정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직역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상황","경제적인 형편"을 말합니다.

 

기업의 매출이 늘고, 채산성이 좋아지며, 가계의 임금이 인상되고 주식이나 부동산의 자산가격이 올라가면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끼고 국가경제로 보았을때 "경기가 좋다"라고 표현이 되는 것은 생산, 소비, 투자 등의 경제 활동이 수준 이상으로 활발한 경우를 말합니다. 

 

경제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기는 평균적인 그래프가 아닌 물결모양으로 순환을 반복합니다. 

즉, [ 호황기 - 후퇴기 - 불황기 - 회복기 - 호황기 ]를 반복하면서 경기가 순환함을 나타냅니다. 이런 경기의 순환과정은 반복성, 다양성, 파급성, 지속성등 여러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경기의 판단방법

1. 여러 경제지표를 분석, 판단

2. 종합 경기지표로 분석, 판단

3. 기업가나 소비자들의 전망설문조사등이 있다.

3. 경기의 종류 

경제용어 경기의 정의와 종류 내수경기 수출경기

경기는 크게 수출경기와 내수경기로 나눕니다.

 

수출경기란 수출입과 관련한 모든 경제적인 상황을 말하고, 내수경기란 국내 경제의 상황을 말합니다.

국가의 경기는 수출경기와 내수경기의 상호작용하면서 변화하고 결정되어 집니다.

특별하게 한부분이 잘된다고 해서 반드시 국가의 경기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국가의 특색에 따라 다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주력이고 내수시장 의존도는 수출보다 낮습니다.

하지만 미국이나 중국같이 나라가 크고 인구수가 많은 나라는 내수 시장의 의존도를 무시할수 없습니다.

 

우리나라가 주력으로 하는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각 국의 경제상황과 환율입니다.

미국, 중국, 유럽의 경제 사정이 꽝이라면, 수출은 줄어들 것입니다. 또한 환율이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에서 일본의 엔화와 미국은 달러의 환율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주력 수출품목이 비슷하여 여러 나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엔고" 즉 엔화의 가치가 강세를 보이면 반대로 우리나라의 수출액이 높아지고, 엔화의 가치가 약하면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줄어들게 됩니다. 

 

내수경기는 말그대로 국내경기를 말합니다.

내수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투자수요 입니다.

일반 국민들이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수요가 있지만, 소비수요의 경우에는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경기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은 기업의 수요 "투자수요"입니다.

경기가 좋을때는 투자 수요가 늘고 나쁠때는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투자수요는 경기가 변동하는 주요원인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소비수요는 불변에 가깝지만, 투자수요는 기업의 영향에 따라 크게 변하기때문입니다.

 

반응형